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아메리칸위스키10

버번 위스키 이야기 "포 로지스(Four Roses)" 1930년대 말, 타임스스퀘어에 불을 밝힌 첫 네온사인 중 하나는 포 로지스 광고였다. 이렇게 금주법도 견뎌내고 살아남은 포 로지스가 이후에 어떻게 미국에서 잘 보이지 않게 되었을까? 북쪽으로 시선을 돌려보자. 1943년에 포 로지스는 캐나다 기업 씨그램이 켄터키주에 소유한 증류소 5곳 중 하나가 되었다. 이 새로운 모기업은 이후 특별한 전략에 착수했다. 포 로지스를 수출 주도형으로 만들되 미국 내에서는 판매를 제한시키기로 했다. 씨그램의 CEO 에드거 브론프먼 주니어가 미국 시장에 자신의 캐나다 위스키를 팔고 싶어 해서 취했던 전략인 듯하다. 1960년에 이르자 포 로지스는 겉 보기엔 똑같았으나 확실히 맛은 같지 않은 블렌디드 위스키로 변형되었다. 아니다 다를까 결국 포 로지스의 명성은 추락해 버렸고 .. 2023. 7. 12.
버번 위스키 이야기 "바튼 1792 Barton" 좁고 험한 산골짜기에 숨겨져 잘 보이지 않는 위치는 대다수 증류 업자들에겐 괴로운 문제가 되었을 테지만 운영을 하는 동안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렸던 한 증류소의 사람들에게는 잘 맞았다. 다른 증류소들이 증류기술자들에게 더 혁신적인 새 제품의 개발에 힘쓰도록 격려하는 쪽으로 잘했다면 바즈타운 외곽에 자리 잡은 이 골짜기의 사람들은 그저 눈에 띄지 않게 조용히 일하며 아주 뛰어난 버번을 만들어 내 공정한 가격에 판매하는 일을 꾸준히 일어났다. 이들에겐 찾아오는 이들이 없어도 상관없었다. 그렇다고 해서 이들이 어떤 식으로든 불친절했던 것은 아니다. 다만, 마케팅 게임을 벌어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았을 뿐이다. 이런 점에서 보면, 이 켄터키주 소재 증류소 역시 뒤로 물러나할 일을 하는 다수의 스페이사이드 증류.. 2023. 7. 10.
버번 위스키 이야기 "코세어Corsair" 생각하면 좀 별스럽기도 하지만, 위스키계에서 가장 혁신적이고 탐구적인 증류소, 코세어는 증류기술자 데릭벨이 차고에서 친구 앤드류 웨버아 바이오디젤을 만들다 창업된 곳이다. "땀을 뻘뻘 흘려가며 바이오디젤을 만들고 있는데 앤드류가 만들고 있는 게 위스키라면 얼마나 좋겠냐는 말을 내뱉었어요. 얼마 지나지 않아 저희는 진짜로 증류소와 증류 기술에 대해 조사했고, 증류기를 설계해서 스피릿을 만들기 시작했어요." 그 직후 코세어 디스틸러리가 설립되었고 현재는 켄터키주와 테네시주에 증류소를 두고 있다. 혁신이란 남들과 다른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 ~라면 어떨까?'에 대한 과학적 탐구일 수도 있다. 적어도 위스키 제조의 관점에서는, 그런 탐구를 데릭 벨만큼 멀리까지 밀어붙인 인물도 없다. 첫 탐구 대상은 곡물이었.. 2023. 7.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