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로우랜드3

스카치위스키 이야기 "수제 정신을 상징하는 브랜드" 발베니 (7) 몰트 마스터 데이비드 스튜어트 발베니를 상징하는 데이비드 스튜어트는 올해(2023년)로 증류소 경력이 60년을 넘었다. 1945년생인 데이비드가 발베니 회사에 수습 직원으로 입사한 건 17살 때였던 1962년 9월 3일. 당시 데이비드는 고등학교를 마치고 보험 회사와 은행에 합격한 상태였다. 하지만 '위스키도 흥미롭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 증류소에 지원해 합격 통지를 받았다. 데이비드가 그때 제출한 입사 지원서와 면접 기록도 전부 증류소에 보관돼 있다. 데이비드를 평가했던 면접관이 "Would do(이 정도면 충분하다)"라고 적어놓은 게 눈에 띈다. 재밌는 건 증류소에 들어온 뒤 3년 동안 데이비드가 판매 기록과 송장 작성 일만 했다는 사실이다. 사무직이었기에 위스키를 어떻게 만들고 어떻게 맛보는.. 2023. 9. 20.
위스키 이야기 "글렌킨치(Glenkinchie)" 위스키를 중심으로 보면 로우랜드는 아주 넓게 흩어져 있다. 다음 증류소를 보려면 동쪽으로 보더스의 끝까지 가서, 비슷한 전원 지대에 이르러야 한다. 글렌킨치 증류소는 경작에 알맞은 농지 내에 자리해 있다. 다시 말해 드퀸스(deQuincey) 가문(이후의 '킨치' 가문) 소유지에 설립되었던 1825년 당시에 원료 공급에는 별문제가 없었을 것이다. 1890년대에 재건된 벽돌로 지어진 크고 견고한 건물에는 성공에 대한 확고한 의지도 깃들어있다. 소유주들은 애초부터 위스키를 만들기 위해 이 건물을 지었다. 그것도 많은 향의 위스키를 만들어 그 위스키로 큰 돈을 벌려고 했다. 그러니 증류장으로 들어가 어마어마한 크기의 단식 즈율기 한 쌍을 보게 되더라도 놀랄 일은 아니다. 워시 스틸은 용량이 무려 32.000L.. 2023. 6. 9.
"위스키의 지배자" 스코틀랜드의 위스키 증류소 스코틀랜드의 싱글 몰트는 오랫동안 지역에 따라 분류되어 왔다 스카치위스키 협회에서 사용하는 분류법이 가장 보편적으로 통용되어 하이랜드, 스페이사이드, 로우랜드, 아일레이, 캠벨타운으로 분류한다. 아일레이를 제외한 하이랜드 지역의 섬들(아일랜즈)은 별도 지역으로 간주하는 경우도 있지만 공식적은 것은 아니다. 이러한 지역 구분은 위스키의 특징적인 향에 과한 지표였다. 아일레이는 독특한 스모키 향의 싱글 몰트로 유명하고, 스페이사이드의 몰트는 꽃과 과일 향이 특징이다. 그러나 오늘날은 스모키한 스페이사이드산 몰드뿐 아니라 피트 처리되지 않은 맥아로 만든 아일레이산 위스키도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이러한 지역별 분류는 특정 증류소를 방문할 계획을 세우는 이들에게 유요한 정보가 된다. 다음은 스코틀랜드 몰트 증류.. 2023. 5.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