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위스키는 세계에서 최고 수준으로 인정받고 있다. 제품 대부분이
스코틀랜드나 아일랜드 고급 위스키와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지리적 특징
일본은 4개의 주요 섬 혼슈, 규슈, 홋카이도, 시코쿠를 비롯해 7,000여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다. 일본에는 산이 많으며, 도시와 해안 지역을 제외하고는
울창한 숲에 둘러싸여 있다. 기후는 비교적 온난하며 남쪽은 아열대성 습윤 기후부터
열대 우림 기후까지 나타나고, 홋카이도는 한대 기후에 가깝다. 일본은 지각단층선 위에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지진과 쓰나미가 번번하게 일어난다. 일본의 증류소는
대부분 중심 섬인 혼슈에 있다. 도시나 해안 지역 인근에 위치하며, 깊은 숲 '외딴곳'이나
높은 산지에 둥지를 틀기도 한다.
증류소
일본 위스키 산업은 닛카와 산토리 양대 산맥이 지배하고 있으며,
각자 두 곳의 증류소를 운영하고 있다.
그레인위스키 제조 설비도 갖추고 있어서 싱글 몰트, 블렌디드 몰트, 싱글 그레인위스키를 생산한다. 닛카와 산토리는 스코틀랜드와 달리 블렌딩을 위해 위스키 캐스크를 교환하지 않는다. 또한 최근 몇 년 동안 일본 위스키가 큰 인기를 누리면서 신흥 증류소가 대거 등장했다. 그중에서 치치부는 일본 위스키의 위상을 보여 주는 좋은 사례다
역사적 배경
과거에는 규정상 생산자들은 다른 나라에서 주정을 수입한 위스키에도 '일본 브렌디드' 위스키라고 붙일 수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규정과 수입 원주의 홍보성을 이용하는 이들도 있었다. 그러나 기반이 탄탄하고 존경받는 증류업자들은 더 이상 이렇게 하지 않으며, 솔선수범해 이런 시대착오적인 관행을 바꾸려 노력한다. 잘 모르거나 신뢰할 만한 출처로부터 추천받지 못한 '일본 블렌디드 위스키'라는 라벨이 붙은 제품을 살 때는 주의하자.
일본 위스키의 부상
불과 100년 만에 일본의 위스키의 불모지에서 세계에서 높이 인정받는
위스키 제조국으로 성장했다.
이는 목표를 향해 매진한 두 인물의 피나는 노력의 결과였다.
일본에서 스코틀랜드로, 그리고 귀국
타케츠루 마사타카(1894~1979)는 1894년 일본히로시마에서 태어났다. 집안은 대대로 사케를 만들어왔지만, 그의 관심사는 오직 위스키였다. 그는 위스키 제조를 실험하는 혁신적인 사케 제조사인 세츠 슈조에 합류했다.
위스키를 향한 타케츠루의 열정을 알게 된 세츠 슈조의 사장은 1918년 그를 스코틀랜드로 유학 보내 위스키 제조법을 배워오도록 했다. 타케츠루는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3년간 공부하는 동안 스페이사이드의 롱몬, 켐벨타운의 헤이즐번 등 몇 곳의 증류소에서 일하며 귀중한 통찰력과 지식, 경험을 쌓았다. 그리고, 글래스고에서 그에게 유도를 배웠던 청년의 여동생 리타 코완을 만나 결혼했다. 다케츠루는 현지에서 배운 지식을 펼치기 위해 1921년 아내와 일본으로 귀국했다.
일본 최초의 몰트 위스키 증류소 설립을 도운 뒤, 타케츠루와 리타는 자연환경과 기후가 스코틀랜드 하이랜드와 가장 비슷한 북쪽 홋카이도로 이주했다.
1934년 타케츠루는 요이치 증류소를 열었고, 이는 훗날 닛카 위스키 컴퍼니의 모체가 되었다.
위스키 업계에서 일본의 위상
오늘날 일본 위스키의 규모와 다양성, 세계적인 인지도는 바로 토리이 신지로(1879~1962) 덕분이다. 원래 의약품 도매상이었던 그는 증류의 화학적 원리를 이해하고 있었다. 그는 1899년 와인과 리큐어 사업을 시작했지만, 위스키의 상업적 잠재성을 파악하고 위스키 제조로 업종을 전환했다. 1921년 타케츠루 마사타카가 스코틀랜드 유학에서 돌아오자, 토리이는 그를 세츠 슈조에서 스카우트했다. 그리고 토리이의 주도로 둘은 일본 최초의 몰트 위스키 증류소인 야마자키 증류소를 세우고 1924년 11월 11일부터 생산을 시작했다.
결국 타케츠루는 야마자키를 떠나 요이치를 세웠지만, 기민한 사업가인 토리이는 사업을 계속하며 훗날 세계적 위스키 회사로 발전하는 산토리를 세웠다.
타케츠루와 토리이 두 사람이 세운 기반은 일본 위스키가 오늘날 세계 최고의 반열에 오르는 토대가 되었다. 그들의 업적은 일본의 위스키 역사가 100년도 채 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더욱 칭송받을 만하다.
타케츠루와 토리이 두 사람은 일본 위스키가 오늘날의 위상을 갖는 기반이 되었다.
댓글